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

2025년도 고3 3월모의고사 23번 지문

반응형

▣ 본문 내용 요약 
 

언어가 사회적 협력을 위한 공유 현실을 형성하는 데 필수적이며, 심지어 과학 같은 객관적인 탐구조차도 언어의 틀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라그랑지안 함수와 퍼텐셜 우물 모델을 예로 들어, 물리학에서도 언어가 필수적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본문 해석 & 분석

 

01 If you want to bring something into shared reality for the  purpose of social coordination, you have to describe it, or at  the very least label it.

어떤 것을 사회적 협력을 목적으로 공유된 현실로 만들고 싶다면,  그것을 설명하거나 최소한 이름을 붙여야 합니다.

 

02 Even the ideally objective pursuit of  science is unable to escape the framing effects of language.

심지어 이상적으로 객관적인 과학이 추구하는 것도 언어의 프레이밍이 주는 효과를 벗어 날 수 없다. 

 

 

03 Like all collective culture, science is constructed on report,  reason, debate, negotiation, justification, consensus, and, most  important, coordination.

모든 집단 문화와 마찬가지로, 과학은 보고, 이성, 토론, 협상, 정당화, 합의, 그리고 가장 중요한 협력에 의해 형성이 됩니다.  

 

04 And all of these things depend on  language.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은 언어에 좌우된다.

 

05 Even something as fundamental as particle physics  depends on language in a particular way.

심지어 입자 물리학 같은 근본적인 어떤 것들 조차 특정한 방식으로 언어에 의존한다. 

 

06 I don’t mean that  particle physics wouldn’t exist if we didn’t describe it.

이것은 입자 물리학이 우리가 그것을 묘사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 아닙니다. 

 

07 Particle physics is part of brute reality and so it will carry on  independent of

any human agreement or understanding of what  it is.

 입자 물리학은 **객관적인 현실(=brute reality)**의 일부이므로, 우리가 이해하거나 동의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존재합니다.

brute reality : 문자 그대로 보면 "야만적 현실"이라 해석이 되지만, 인간이 어찌할 수 없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이라 생각하면 된다. 

 

 

08 But consider this remark by Michael I. Jordan, referring  to the “infinite potential well” model, which studies how a  single particle behaves in a small, enclosed space:

하지만, 물리학자 **마이클 I. 조던(Michael I. Jordan)**이 “무한 퍼텐셜 우물(infinite potential well)” 모델과 관련하여 한 말을 생각해 봅시다. 이 모델은 작은 닫힌 공간 안에서 단일 입자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연구하는 개념입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무한포텐셜우물: 어떤 물리계에서 입자가 특정한 위치에서 더 낮은 퍼텐셜 에너지를 가지는 경우, 이 입자는 마치 우물(well) 속에 갇힌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를 퍼텐셜 우물이라고 합니다.고전적으로 생각하면, 공이 그릇(우물) 안에 들어 있을 때 중력 때문에 쉽게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즉, 퍼텐셜 우물은 입자가 일정한 범위 내에 갇혀 있을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의미합니다.

 

 

09 “A particle  in a potential well is optimizing a function called the  Lagrangian function. The particle doesn’t know that. There’s  no algorithm running that does that. It just happens.

“퍼텐셜 우물 안의 입자는 ’ 라그랑지안 함수(Lagrangian function)’이라는 함수를 최적화하는 것처럼 행동한다. 하지만 입자는 그것을 ‘알고 있는 것’이 아니다. 어떤 알고리즘이 실행되고 있는 것도 아니다. 그냥 그렇게 일어나는 것이다. 

 

Lagrangian Function (라그랑지안 함수)란?

라그랑지안 함수는 **라그랑주 역학(Lagrangian mechanics)**에서 사용하는 핵심 함수로, 시스템의 동역학(운동)을 기술하는 데 사용됩니다

 

10. It’s a  description mathematically of something that helps us  understand as analysts what’s happening.”

이것은 단지 우리가 분석자로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수학적 설명일 뿐이다.”

 

 

 

▩ 지문분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