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나최로영어공부

3월 28일 주님께 불명예가 되는 것

반응형

Isn’t There Some Misunderstanding?  오해가 있지는 않습니까?

BY OSWALD CHAMBERS

March 28

 

 

“Let us go to Judea again.” The disciples said to Him, “…are You going there again?” —John 11:7-8.   

[11:7-8]

7 그 후에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유대로 다시 가자 하시니
8 제자들이 말하되 랍비여 방금도 유대인들이 돌로 치려 하였는데 또 그리로 가시려 하나이까

 

 

Just because I don’t understand what Jesus Christ says, I have no right to determine that He must be mistaken in what He says. 

단지 내가 예수님이 말씀 하시는 것을 이해 하지 못한다고 해서 내가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것에 분명히 틀렸다고 결정할 권리는 없습니다. 

 

That is a dangerous view, and it is never right to think that my obedience to God’s directive will bring dishonor to Jesus. 

이런 시각은 위험하며, 자신이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이 예수님께 불명예를 가져올거라고 생각 하는 것도 옳지 않습니다. 

 

The only thing that will bring dishonor is not obeying Him. 

불명예를 가져다 주는 것은 그에게 순종하지 않는 것입니다. 

 

To put my view of His honor ahead of what He is plainly guiding me to do is never right, even though it may come from a real desire to prevent Him from being put to an open shame.

그가 분명히 우리를 인도하시는 것 보다 그의 명예를 위한 나의 생각을 우선시 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비록 그것이 그의 명예를 지키려는 나의 진실한 마음에서 나온 것이라 하더라도. 

 

 I know when the instructions have come from God because of their quiet persistence. 

나는 그 말씀이 조용히 지속 되기 때문에 그 말씀이 하나님으로 부터 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But when I begin to weigh the pros and cons, and doubt and debate enter into my mind, I am bringing in an element that is not of God. 

그러나 내가 그 장단점을 저울질 하기 시작하고 의심과 논쟁이 내 마음에서 시작이 된다면 나는 하나님의 것이 아닌 것들을 받아 들이고 있는 것입니다. 

 

This will only result in my concluding that His instructions to me were not right. 

이것은 단지 그의 말씀이 옳지 않았다는 결론에 이르게 합니다. 

 

Many of us are faithful to our ideas about Jesus Christ, but how many of us are faithful to Jesus Himself?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에 대한 자신의 생각에 충실하지만, 얼마나 많은 수가 예수님 그분에게만 충실할까요?

 

Faithfulness to Jesus means that I must step out even when and where I can’t see anything (see Matthew 14:29). 

예수님에 대해 충실한 것은 내가 어떤 것도 볼수 없을 시간과 장소에서 조차 한발 앞으로 내딛는 것을 의미합니다. 

 

But faithfulness to my own ideas means that I first clear the way mentally. 

자신의 생각에 대한 믿음은 내가 먼저 정신적으로 그 길을 해결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Faith, however, is not intellectual understanding; faith is a deliberate commitment to the Person of Jesus Christ, even when I can’t see the way ahead.

그러나 믿음은 지적인 이해가 아닙니다. 믿음은 앞이 보이지 않더라도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에 대한 자발적인 헌신입니다. 

 

Are you debating whether you should take a step of faith in Jesus, or whether you should wait until you can clearly see how to do what He has asked?

예수님 안에서 믿음의 걸음을 걸어야 할지 아니면 그분이 부탁하신 것을 어떻게 해야 할수 있을지 명확히 알 수 있을 때 까지 기다려야 할지 고민하고 있습니까?

 

 Simply obey Him with unrestrained joy. 

 자유로운 기쁨으로 그에게 순종 하십시오

 

When He tells you something and you begin to debate, it is because you have a misunderstanding of what honors Him and what doesn’t. 

주님이 당신에게 어떤 것을 말하고 당신이 그것을 고민하기 시작하는 것은  그분을 영화롭게 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해 오해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Are you faithful to Jesus, or faithful to your ideas about Him? 

예수님을 믿습니까? 아니면 그에 대한 당신의 생각을 믿습니까?

 

Are you faithful to what He says, or are you trying to compromise His words with thoughts that never came from Him? “Whatever He says to you, do it” (John 2:5).

 

그분이 말씀하시는 것을 믿습니까? 아니면  그분으로 부터 나오지 않은 생각으로 그분의 말씀에 타협을 하려고  애쓰고 있습니까? “무엇을 말씀 하시든 그대로 하라” (요 2:5)

 

 


📌 글의 핵심 내용 요약

1.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그분이 틀렸다고 생각하지 말라.

 인간의 이해로 하나님의 말씀을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다.

 하나님께서 주신 인도하심이 조용하지만 끊임없이 지속될 때 그것이 참된 말씀임을 알 수 있다.

 

2. 순종이 예수님을 영화롭게 한다.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것이 예수님을 불명예스럽게 하지는 않는다.

 순종하지 않는 것만이 예수님을 욕되게 하는 것이다.

 

3. 믿음은 보이지 않는 곳으로 나아가는 결단이다.

 믿음은 지적 이해가 아닌 예수님께 대한 절대적인 신뢰와 헌신이다.

 모든 것을 이해하려 하기보다 기쁨으로 즉시 순종해야 한다.

 

4. 예수님 자신에게 충실해야 한다.

 우리의 생각이 아닌, 예수님이 말씀하신 바에 충실해야 한다.

 **“무엇을 말씀하시든지 그대로 하라”**는 말씀이 핵심 교훈이다.

 

👉 결론: 예수님의 말씀을 이해하기 어렵더라도 논쟁하거나 타협하지 말고, 기쁨으로 즉각 순종하는 것이 진정한 믿음이다.

 

 

📚 문법 설명 (Grammar Analysis)

 


📌 1. “Just because I don’t understand what Jesus Christ says, I have no right to determine that He must be mistaken in what He says.”

1. Just because:

 **접속사(Conjunction)**로 ‘단지 ~ 때문에’라는 의미를 가짐.

 주의할 점: Just because는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이지만, 문장 맨 앞에 위치할 경우 so와 함께 사용하지 않음.

  Just because ~, so… (X)

  Just because ~, … (O)

2. I have no right to + 동사원형:

 have a right to는 ‘~할 권리가 있다’는 의미.

 여기서 no 부정의 의미로 ‘권리가 없다’로 해석됨.

3. **determine that ~**:

 determine은 ‘결정하다’라는 의미로 여기서는 ‘판단하다’의 의미로 쓰임.

 that절 목적어 역할을 하며 ‘그가 틀렸다고 판단하다’라는 의미.

4. must be mistaken:

 must + 동사원형: 강한 추측을 나타내며, ‘~임에 틀림없다’로 해석.

 mistaken be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과거분사로 형용사처럼 작용해 ‘잘못된’의 의미.

 


📌 2. “I know when the instructions have come from God because of their quiet persistence.”

1. **I know when ~**: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형식으로 간접의문문을 형성.

 when 부사절 접속사로 사용됨.

2. have come:

 현재완료 시제로 ‘지금까지 도달했다’는 의미.

 come 자동사 수동태로 사용 불가.

3. because of + 명사(구):

 전치사구로 ‘때문에’의 의미를 갖고 이유를 설명함.

4. quiet persistence:

 quiet은 형용사로 ‘조용한’, persistence는 명사로 ‘지속성, 끈기’를 의미.

 


📌 3. “Faithfulness to Jesus means that I must step out even when and where I can’t see anything.”

1. Faithfulness to + 명사:

 ‘~에 대한 충성(신실함)’을 의미.

2. **means that ~**:

 mean의 3인칭 단수 현재형으로 ‘~을 의미하다’.

3. even when and where:

 even은 강조어로 ‘심지어 ~할 때/장소에서도’라는 의미.

 when where 접속사로 각각 시간과 장소를 나타냄.

 


📌 4. “Faith, however, is not intellectual understanding; faith is a deliberate commitment to the Person of Jesus Christ.”

1. however:

 부사로 ‘그러나, 하지만’의 의미.

 문장 중간에 위치하며 **콤마(,)**로 양쪽을 구분함.

2. not A; B:

 병렬 구조로 A가 아니라 B이다를 의미.

3. deliberate commitment:

 deliberate는 형용사로 ‘의도적인’, commitment는 명사로 ‘헌신’을 의미.

 


📌 5. “When He tells you something and you begin to debate, it is because you have a misunderstanding of what honors Him and what doesn’t.”

1. When + S + V:

 시간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그가 말할 때’의 의미.

2. begin to + 동사원형:

 begin은 ‘시작하다’라는 의미로, to부정사와 함께 쓰임.

3. **It is because ~**:

 It은 가주어로 사용되고, 진짜 이유는 because절에 있음.

4. what honors Him and what doesn’t:

 what + 동사 관계대명사로 ‘그것이 무엇인지’를 의미.

 and로 두 개의 절을 연결하며, doesn’t는 앞의 honors를 대신함.

 


📌 6. “Whatever He says to you, do it.” (John 2:5)

1. Whatever + S + V:

 복합관계대명사로 ‘무엇이든지’의 의미.

2. 명령문 구조:

 Do it은 명령형으로 ‘그것을 하라’는 의미.

 


 요약:

 Just because는 ‘단지 ~ 때문에’.

 must be mistaken: 틀림없이 잘못되었다.

 Faith is not intellectual understanding: 믿음은 지적 이해가 아니다.

 When + S + V: 시간의 부사절.

 Whatever + S + V: 복합관계대명사로 ‘무엇이든지’.

반응형